기레기, '기자'와 '쓰레기'의 합성어로 언론 기사에 불만을 표현하며 기자를 비난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죠. <br /> <br />주요 언론 기사에는 늘 이 '기레기'라는 비판 댓글이 따라붙곤 하는데요. <br /> <br />한 누리꾼은 지난 2016년 자동차 관련 기사에 '기레기'라는 댓글을 달았다가 기자를 모욕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는데요. <br /> <br />1심과 2심 재판부는 모욕죄가 성립된다며 벌금 3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법원의 판단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대법원은 "'기레기'라는 표현은 모욕적"이지만 "사회 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"라며 모욕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"'기레기'라는 단어는 기사와 기자의 행태를 비판하는 글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데다 지나치게 악의적이라고 하기 어렵다"고 설명했는데요. <br /> <br />판결에 대해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"표현의 자유는 보장돼야 한다"며 당연한 결과라는 반응과 "막말을 부추기는 것이냐"며 "표현에 책임을 져야 한다"는 지적이 함께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지난 2005년 목사에게 '뻔뻔이'라는 표현을 쓴 교인들의 모욕죄는 인정됐다"며 다른 판례를 언급하는가 하면 "언론 스스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"며 언론의 보도 관행을 꼬집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'국경 없는 기자회'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언론 자유도를 180개국 가운데 42위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게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언론인 스스로 느끼는 언론 자유도 역시 지난 10년 이래 가장 높았는데요. <br /> <br />반면, 지난해 세계 주요 40개국에서 진행된 언론 신뢰도 조사에서 한국은 꼴찌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언론을 신뢰한다는 우리 국민은 5명 가운데 1명꼴인 21%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언론의 자유도와 신뢰도가 반대로 가고 있는 것이죠. <br /> <br />'기레기'. <br /> <br />'아니면 말고' 식의 보도, 받아쓰기, 베껴 쓰기 관행이 불러온 우리 언론의 씁쓸한 성적표가 아닌지 돌아봐야 하지 않을까요? <br /> <br />뉴스가 있는 저녁 안귀령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2519205985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